광산구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산구 (선거구)는 1988년 광주직할시 광산구 설치와 함께 신설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다. 1988년 신설 당시에는 금성시·광산군·나주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었으며, 이후 광산구의 인구 증가로 인해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갑, 을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조홍규, 전갑길, 김동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폐지된 선거구 - 남구 (광주 선거구)
남구 (광주 선거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일원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동구와의 통합으로 폐지되었으며, 임복진, 강운태, 지병문, 장병완 등이 이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08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강진군·완도군
강진군·완도군 선거구는 1988년 신설되었다가 2008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민주당계 정당 소속 의원들이 강세를 보였다. - 2008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남제주군은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귀포시 선거구로 개편되었으며, 강보성, 변정일, 고진부, 김재윤 등이 역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광주 광산구의 정치 - 광산구 갑
광산구 갑은 2008년 광산구 인구 증가로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광산구 13개 동을 관할하며 김동철, 이용빈, 박균택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 광주 광산구의 정치 - 광산군 (1958년 선거구)
광산군 (1958년 선거구)는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이정휴, 고몽우, 박종태, 오중열이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73년 나주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광산구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광산구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광주광역시 |
지도 연도 | 알 수 없음 |
연도 | 1988년 |
폐지 | 200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금성시·광산군·나주군 |
이후 선거구 | 광산구 갑 광산구 을 |
유권자 | 알 수 없음 |
의원 | 알 수 없음 |
정당 | 알 수 없음 |
지방 의회 | 알 수 없음 |
지방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의원 수 | 1인 |
2. 역사
1988년 1월, 광산군과 송정시가 전라남도에서 광주직할시로 편입되면서 광산구가 설치되었다. 이에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성시·광산군·나주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광산구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산구의 인구가 상한선을 초과하여 갑,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88년)
1988년 1월, 전라남도 광산군과 송정시가 광주직할시로 편입되었다. 이로 인해 송정시와 광산군에 해당하는 지역에 광산구가 설치되었다. 이에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금성시·광산군·나주군 선거구에서 분리되면서 광산구 선거구가 신설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광산구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제13대 총선 | 조홍규 | 평화민주당 | 82.43 | 김대중 총재의 평화민주당 소속으로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 |
제14대 총선 | 조홍규 | 민주당 | 58.16 | 평민당의 후신인 민주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
제15대 총선 | 조홍규 | 새정치국민회의 | 71.84 | 김대중 총재의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3선 고지를 밟았다. |
제16대 총선 | 전갑길 | 새천년민주당 | 71.88 | 김대중 정부의 여당인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광산구청장 출신의 전갑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17대 총선 | 김동철 | 열린우리당 | 57.98 |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김동철은 이후 보수 정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
4.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대중이 이끌던 평화민주당 조홍규 후보가 광주직할시 광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평화민주당은 광주/전남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조홍규 후보는 82.43%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
4.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조홍규 후보가 58.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평민당의 후신인 민주당은 광주/전남 지역에서 강세를 이어갔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조홍규 | 민주당 | 44,685 | 58.16 |
이식재 | 무소속 | 15,538 | 20.22 |
김면중 | 통일국민당 | 8,527 | 11.09 |
김용호 | 민주자유당 | 5,616 | 7.31 |
조진태 | 민중당 | 1,416 | 1.84 |
손종규 | 무소속 | 1,043 | 1.35 |
합계 | 76,825 | 100.00 |
4.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 조홍규 후보가 71.8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대중이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는 광주/전남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조홍규 후보는 이 지역에서 3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홍규 | 새정치국민회의 | 55,650 | 71.84% |
김동철 | 무소속 | 10,807 | 13.95% |
김용호 | 신한국당 | 5,783 | 7.46% |
김면중 | 무소속 | 3,457 | 4.46% |
이승준 | 통합민주당 | 1,069 | 1.38% |
정원섭 | 자유민주연합 | 689 | 0.88% |
합계 | 77,455 | 100.00% |
4.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전갑길 후보가 광주광역시 광산구 유권자 160,147명 중 63,598표(71.88%)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대중 정부의 여당이었던 새천년민주당은 광주/전남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전갑길 후보는 광산구청장 출신으로 지역 기반이 탄탄했다. 무소속 나병식 후보는 22,462표(25.38%), 한나라당 김면중 후보는 2,410표(2.72%)를 얻었다.4.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김동철 후보가 57.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전갑길 후보는 31.43%로 2위, 민주노동당 국강현 후보는 8.06%, 무소속 기세익 후보는 2.52%를 득표하였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은 호남 지역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다. 김동철은 이후 바른미래당,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